본문 바로가기

흥미로운 사이언스

페니실린의 발견, 세상을 구한 우연한 사고

반응형

1928년의 어느 날, 영국의 세균학자 알렉산더 플레밍(Alexander Fleming)은 실험실에서 돌아와 매우 뜻밖의 장면을 목격합니다. 실험을 위해 배양하던 세균 샘플 위에 곰팡이가 자라나 있었던 것이죠. 보통 과학자들이라면 곧바로 실험 실패라 여기고 곰팡이를 치워버렸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플레밍은 달랐습니다. 그는 세심히 살펴보다가 놀라운 사실을 발견합니다. 세균이 자라나야 할 부분이 곰팡이에 의해 파괴되고 있었던 것이죠. 이 우연한 발견이 바로 인류를 페니실린의 시대로 이끈 출발점이었습니다.

 

플레밍은 이 곰팡이가 세균을 죽이는 물질을 분비한다는 것을 알아내고, 이를 '페니실린'이라고 명명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었죠. 페니실린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인류의 가장 중요한 항생제로 사용하기까지는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했습니다. 플레밍은 1945년 이 공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가 연구한 물질은 2차 세계대전 동안 수백만 명의 생명을 구하게 되죠.

그런데 여기서 재미있는 사실 하나! 플레밍은 실험실 정리 상태가 매우 엉망이었던 것으로 유명했습니다. 만약 그의 실험실이 완벽히 정돈된 상태였다면 이 중요한 발견이 일어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더러운 실험실 덕분에 인류는 수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었던 셈이죠!

 

하지만 페니실린의 역사는 우연에 의한 것이지만, 그 이후의 발전은 많은 과학자들의 노력을 필요로 했습니다. 1930년대 말, 호주의 하워드 플로리와 독일 태생의 생화학자 에른스트 체인이 페니실린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면서 인류는 비로소 대규모의 전염병과 싸울 수 있는 강력한 무기를 얻게 됩니다.

이제 우리에게 너무나도 익숙한 항생제의 시대가 이렇게 시작된 것입니다. 페니실린은 이후로도 수많은 생명을 구해냈고, 과학의 발전이 우연과 노력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반응형